본문 바로가기

생활정보그램

무릎 퇴행성관절염 증상과 운동방법

반응형

무릎 퇴행성관절염 증상과 운동방법을 알아봅시다.

 

 

 

무릎은 우리 몸에서 체중을 지탱해주는 큰 역할을 해주고

걸을 때 중요한 다리 부위입니다.

무릎 부위는 나이가 들면서

무릎 퇴행성관절염 증상을 빨리 느낄 수 있는 

부위 중의 한 곳입니다.

 

퇴행성관절염은 무릎관절을 보호하는

연골이나 인대가 손상되거나 노화되어서 

염증과 붓기, 통증이 나타나는 질환입니다.

전 인구의 10~15%가 겪고 있는 질병으로

대부분의 연령층은 노년층에서 많이 발생하고 있습니다.

무릎, 손가락, 어깨, 발목, 척추관절 등 관절 부위에 

두루두루 많이 나타나는 질환입니다.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무릎 퇴행성관절염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.

 

계단을 올라갈 때나 내려오면 통증이 느껴질 때

앉았다가 일어났을 경우 무릎에 통증이 나타날 때

걷거나 움직이면 무릎에서 소리가 나고

아프다는 느낌이 들 때

다리를 펴기 힘들 때

무릎이 붓고 통증이 나타나고 아플 때

아침보다 저녁이나, 운동 후 관절이 아플 경우

서있을 때 다리가 O자 모양이 될 때

무릎 퇴행성관절염 증상으로 보고 있습니다.

정확한 진단은 전문 병원에서 전문의의 진단을 받아봐야 합니다.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이러한 퇴행성 관절염의 원인은 무엇일까요.

 

노화로 인한 관절의 퇴화 증상을 우선적으로 뽑을 수 있고요.

관절을 지나치게 많이 사용해서

연골과 인대가 서로 닳아 생길 수 있습니다.

비만으로 퇴행성관절염 증상이 나타날 수 있고요.

지나친 과격한 운동으로 연골이 손상되는 경우에도 

퇴행성 관절염 증상이 생길 수 있습니다.

영양공급이 부족할 경우에도 증상이 나타날 수 있어요.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적절한 운동방법은?

 

퇴행성관절염은 심하지 않을 땐 물리치료나 꾸준한 운동으로

완화시킬 수 있는데요.

심할 경우는 반드시 병원에 가서 적절한 

치료를 받으시는 게 중요합니다.

퇴행성 관절염 운동방법은

가급적 등산이나 계단 오르내리는 운동은 

피하는 게 좋습니다.

체중이 무릎에 실려서 무리가 많이 갈 수 있기 때문에

질병을 더욱 악화시킬 수 있어요.

 

 

 

비만으로 생긴 질환일 경우는 

반드시 살을 빼는 게 중요하고요.

평지를 걷는다던지 실내 자전거 운동이나

수영, 아쿠아로빅 같은 관절에 많이 무리가 가지 않는

운동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.

걷는 운동은 관절 주변의 근육을 

강화시켜줄 수 있고 언제 어디서든 할 수 있는

운동이기 때문에 부담이 없다는 장점이 있습니다.

수영 같은 운동은 직접적으로

관절에 무리가 가게 하지 않아서

관절염 환자들이 많이 하고 있는 운동 중 하나입니다.

몸을 아예 움직이지 않으면 오히려 더 안 좋을 수 있어요.

서서히 운동을 하면서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게 좋습니다.

 

 

 

우선 가장 좋은 방법은 전문의의 진단을 

정확하게 받아서 자신에게 맞는 적절한 운동과

치료법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.

참고하시고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네요.

즐거운 하루 되세요.

 

 

 

 

 

ⓒ twinklerony.tistory.com Corp.

 

 

 

 

 

반응형